카테고리 없음

마음EASY 검사 도입: 학교에서 아동정신건강 조기 발견하는 방법

윤어블 2025. 9. 22. 16:11

 

 

최신 확정 정보 반영(2024~2025)

아동 정신건강 지원 최신 제도 총정리: 우울·ADHD 초기 상담·검사·치료 연계

아이가 우울해 보이거나 주의력·과잉행동(ADHD) 징후가 의심될 때, 부모가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있는 공적 지원은 무엇일까요? 본 글은 정부가 발표·시행 중인 심리상담 바우처(전국민 마음투자), 학교 기반 조기선별(마음EASY·정서행동특성검사)치료 연계 흐름을 최신 확정 내용 중심으로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핵심 한눈에 보기

  • 심리상담 바우처: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아동·청소년 포함, 최대 8회 전문심리상담 지원. 바우처 단가(회당) 1급 8만 원, 2급 7만 원. 본인부담 0~30% (소득에 따라 차등, 취약계층 면제).
  • 학교 조기선별: 마음EASY 검사(필요 시 수시 활용 가능) 배포 완료(초·중·고). 정서·행동특성검사는 정례(초1·4, 중1, 고1) 시행·관리 매뉴얼 2025년판 배포.
  • 연계: 선별→학교(Wee클래스/센터)·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상담→필요 시 의료기관 치료로 연결.

1) 심리상담 바우처: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정서적 어려움(우울·불안 등)으로 전문 심리상담이 필요한 국민에게 바우처 형태로 상담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아동·청소년도 대상에 포함되며, 선별검사·학교·상담기관에서 상담 필요성이 확인되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 횟수: 최대 8회(회당 50분 내외 권고)
  • 단가: 1급 8만 원, 2급 7만 원(정부지원금 + 본인부담)
  • 본인부담: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0~30% 차등 (70% 이하 0%) / 자립준비청년·보호연장아동·법정 한부모가족 등은 면제
  • 이용처: 승인된 제공기관(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청소년상담복지센터·대학상담센터 등 연계)
  • 신청: 지자체·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복지 포털(복지로) 안내에 따라 신청(지역 공고에 따라 세부 시기 상이, 예산 한도 내 운영)

· 처음이라면 거주지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전화해 “전국민 마음투자” 대상 여부·필요서류·가까운 제공기관을 먼저 확인하세요.

2) 학교 기반 조기선별: 마음EASY + 정서·행동특성검사

마음EASY(마음이지) 검사: 수시 활용 가능

교육부가 개발해 2024년 2월 전국 초·중·고에 배포된 마음EASY는 정서불안, 대인관계·사회성 등을 묻는 약 35문항 수준의 위기학생 선별 도구입니다. 필요 시 언제든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어 조기 발견에 도움을 줍니다.

 

 

 

 

정서·행동특성검사: 정례 시행 + 2025년판 운영 매뉴얼

기존의 정서·행동특성검사는 매년 초1·초4·중1·고1을 대상으로 정례 실시됩니다. 2025년에는 학교 현장 운영을 위한 최신 관리 매뉴얼이 배포되어 사후관리(학부모 안내, 전문기관 연계) 절차가 더욱 정비되었습니다.

교실 속 작은 검사, 큰 마음 돌봄의 시작

부모 확인 포인트 · 담임·Wee클래스에 “마음EASY 검사 가능 여부”를 문의하고, 검사 결과 설명·추후 상담·치료 연계 절차를 함께 확인하세요.

3) ADHD·우울 의심 시 실제 이용 절차

  1. 신호 포착: 가정·학교에서 지속적 부주의, 과잉행동/충동성, 우울/불안·수면·식욕 변화 등 관찰
  2. 학교 선별: 마음EASY 또는 정서·행동특성검사 → 결과 설명
  3. 상담: 학교(Wee클래스/센터)·청소년상담복지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초기상담
  4. 연계: 필요 시 소아정신건강 의료기관 진료(진단평가·치료), 심리상담 바우처 병행
  5. 사후관리: 학교-가정-의료기관 정보 공유, 생활·학습환경 조정, 지속 모니터링

4) 비용·기간·자주 묻는 질문

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 바우처 단가: 회당 7만~8만 원(유형별) · 본인부담 0~30%(소득 기준). 취약계층은 면제.
  • 학교 선별검사(마음EASY·정서행동특성검사)는 공교육 체계에서 시행됩니다(학교 안내 참고).

얼마나 걸리나요?

  • 바우처는 지역별 예산·제공기관 수에 따라 대기기간이 다릅니다(지역 공고/센터 문의 필수).
  • 검사 결과 고위험군이면 학교·센터가 우선연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아이는 대상이 되나요?

  • 우울·불안 등 정서 어려움이 있고 상담 필요성이 학교·상담기관에서 확인되면 아동·청소년도 바우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구체 서류(의뢰서·진단서 등)는 지역 지침을 확인하세요.

 

부모를 위한 체크리스트

  • 담임·Wee클래스에 마음EASY 시행 가능 여부와 결과 상담 절차 문의
  • 거주지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바우처(전국민 마음투자) 대상·필요서류·제공기관 문의
  • 아동 행동기록(지속기간·상황·강도)와 교사 의견을 간단 메모로 정리해 상담 시 지참
  • 필요 시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예약(선별 결과·학교 소견서 준비)
  • 치료·상담 병행 시 가정·학교 환경 조정(숙면·스크린타임·과제 구조화 등) 계획

참고문헌/공식 출처

  • 보건복지부.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전문 심리상담 바우처) 안내 — 지원횟수 8회, 단가·본인부담(0~30%) 기준 명시.
  • 정책브리핑(교육부). 마음EASY 검사 전국 배포(초·중·고), 약 35문항 구성·수시 활용.
  • 행복한교육(교육부). 마음EASY 학교 현장 도입 및 위기학생 조기 발견 취지.
  • 2025년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관리 매뉴얼(교육부/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등) — 정례 학년 및 사후관리 절차.
  • 지자체·보건소 안내 예시(수원시보건소 등) — 바우처 이용기간·제공기관 안내(지역에 따라 세부 운영 상이).
  •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06040800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25723
  • https://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201&nttId=38910
  • https://www.smhrc.kr/dataCenter/dataView?dataId=470
  • https://health.suwon.go.kr/sub.asp?page_code=sub0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