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놀이치료에서 자주 나타나는 아동의 무의식 신호: 아이의 마음, 놀이에 드러나다

윤어블 2025. 7. 27. 09:58

놀이치료에서 자주 나타나는 아동의 무의식 신호

 

놀이치료에서 자주 나타나는 아동의 무의식 신호: 아이의 마음, 놀이에 드러나다

아이들은 말을 잘하지 못해도,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자연스럽고 강력한 도구가 바로 놀이입니다. 놀이치료(Play Therapy)는 아이가 내면의 감정과 욕구를 놀이를 통해 드러내도록 돕는 심리치료 방법으로, 아이의 무의식적인 신호를 포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무의식 신호란 무엇인가?

무의식 신호는 아이가 자신도 인식하지 못한 감정, 불안, 욕구를 행동이나 상징을 통해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면의 상태가 인형, 블록, 그림, 상징적 역할놀이 등을 통해 드러납니다.

놀이 속 무의식 신호, 어떻게 나타날까?

1. 반복적인 놀이 시나리오

같은 상황이나 캐릭터를 반복해서 연출하는 경우, 그 안에 해결되지 않은 감정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매번 인형이 버려지거나 공격당하는 시나리오가 반복된다면 버림받음에 대한 불안이나 공격적인 환경을 무의식적으로 재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2. 공격적 혹은 파괴적 놀이

인형이나 블록을 부수거나, 캐릭터가 싸우는 이야기를 자주 하는 아동은 분노나 좌절을 표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억눌린 감정이 놀이로 배출되는 형태이며, 현실에서는 통제당한 감정을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3. 과도한 통제와 규칙 강조

놀이 중에 규칙을 강하게 정하거나 타인의 행동을 지나치게 통제하려는 경우는 불안감이 높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 무력감을 느끼는 아이는 놀이 세계에서는 전능감을 갖고자 합니다.

4. 역할 바꾸기

엄마, 선생님, 경찰, 괴물 등 권위 있는 역할을 맡으려는 아이는 자기 통제력의 결핍이나 권위자에 대한 갈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항상 피해자나 아기 역할을 맡는 아동은 보호 욕구가 무의식적으로 표현되는 경우입니다.

5. 상징 놀이 속 인물 구성

가족 구성원을 상징하는 인형이나 동물 배치를 보면, 아이가 어떻게 가족을 인식하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특정 인형을 의도적으로 제외하거나 과도하게 몰아세우는 경우, 그 인물에 대한 감정이 투사되어 있는 것입니다.

왜 무의식 신호에 주목해야 할까?

아이들은 아직 정서적 언어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대신, 놀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감정을 방출하고 정서적 안정을 꾀합니다. 무의식 신호는 치료자나 부모에게 중요한 정서의 힌트가 됩니다. 이를 통해 아이의 내면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지와 개입이 가능합니다.

무의식 신호 해석 시 주의사항

  • 1. 단정 짓지 않기: 한 번의 놀이로 모든 것을 해석해서는 안 됩니다. 일관된 패턴을 통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2. 감정 중심으로 보기: 행동보다 그 속에 담긴 감정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놀이 자체를 존중: 아이에게 놀이에 대한 평가나 지적은 자칫 표현을 억압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예시

6세 남아가 놀이 중에 반복적으로 인형 가족 중 엄마 인형만을 멀리 떨어뜨려 놓고, 나머지 가족만으로 이야기를 꾸몄습니다. 세션을 거듭할수록 엄마 인형은 “멀리 여행 간 엄마” “일하러 간 엄마” “돌아오지 않는 엄마”로 설정되었고, 아이는 아빠와 형 인형과 함께 지내는 역할에 몰입했습니다. 이후 보호자 면담에서 실제로 아이의 엄마가 최근 이혼 후 별거 중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아이는 이 상황을 말로 표현하진 않았지만, 놀이 속에서 그 그리움과 분리불안을 드러내고 있었던 것입니다.

부모가 할 수 있는 역할

  • 아이의 놀이를 관찰하되 평가하지 않기
  • 놀이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기
  • 불안한 신호가 지속되면 전문가 상담 고려하기

마무리: 아이의 마음, 놀이에서 들려옵니다

놀이치료는 아이의 무의식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통로입니다. 아이가 어떤 놀이를 반복하는지, 누구를 피해가는지, 어떤 역할을 좋아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면 그 마음속 이야기를 읽을 수 있습니다. 말 대신 행동으로 보내는 아이의 신호, 가볍게 넘기지 말고 귀 기울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