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중학생 공부 동기부여,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자기주도학습 비법 6가지

윤어블 2025. 8. 4. 14:34

 

중학생이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동기부여 방법

 

나만의 목표, 내가 만든 계획’

왜 중학생 시기의 동기부여가 중요한가?

중학생 시기는 인생에서 자기주도 학습이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때 올바른 동기부여가 자리잡지 않으면,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기 어렵고, 성적이나 자기효능감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부해!”라는 말만으로는 절대 학생 스스로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중학생이 자발적으로, 꾸준히 공부할 수 있을까요?

1. 자율성 부여: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심리학자 데시와 라이언(Deci & Ryan)의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사람이 동기부여를 받으려면 “자율성”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즉, ‘내가 원해서’ 하는 공부라는 느낌이 들 때 비로소 진짜 동기가 살아난다는 것입니다.

  • 공부 계획을 스스로 세우게 해보세요.
  • “어떤 과목부터 할래?”처럼 작은 선택부터 학생에게 맡기세요.
  • 목표나 보상도 함께 논의해서 결정하면 효과가 큽니다.

예시: “수학, 영어, 과학 중에서 오늘 먼저 하고 싶은 과목을 직접 정해봐.”

2. 의미 찾기: ‘왜’ 공부해야 하는지 스스로 깨닫게 한다

“공부는 왜 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게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성적을 잘 받아야 하니까”가 아니라, 자신의 미래 꿈, 흥미, 자신이 이루고 싶은 것과 연결시켜주면 훨씬 강한 동기부여가 됩니다.

  • 진로 탐색, 관심 분야에 대해 대화 나누기
  • 공부한 내용이 실제 세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설명해주기

예시: “네가 좋아하는 게임 개발자들도 영어와 수학을 잘해야 해.”
“이 과학 지식이 실제로 어떤 일에 쓰이는지 알아볼까?”

3. 작은 성공 경험 쌓기: ‘할 수 있다’는 자신감 심어주기

성취감은 강력한 자기동기입니다. 중학생은 ‘할 수 있다’는 경험이 쌓이면 더 큰 공부도 스스로 하려고 하죠.

  • 처음엔 쉬운 목표부터 설정해 작게 성공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 달성 가능한 목표(예: “단어 10개 외우기”, “문제 3개 풀기” 등)부터 시작하면 좋습니다.
  • 작은 진전도 크게 칭찬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오늘은 영어 단어 5개만 외우고 알려줘!”
→ 해냈다면 바로 “정말 잘했어! 역시 할 수 있네!”로 즉시 피드백.

4. 칭찬과 격려의 힘: 결과보다 과정을 인정하기

“잘했어!”, “수고했어!” 같은 한 마디가 중학생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특히 결과(점수)만이 아니라, 노력하는 과정 자체를 칭찬하면 아이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집니다.

  • 노력과 태도, 꾸준함을 구체적으로 칭찬해보세요.
  • 실패해도 “다시 시도해보자”, “계속하면 더 잘할 거야”처럼 격려하세요.

예시: “이번엔 틀렸지만 네가 풀어보려고 한 게 정말 멋지다!”
“네가 30분 동안 집중한 모습, 정말 대단해.”

5. 환경 조성: 공부에 몰입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들기

물리적인 환경도 아이의 동기부여에 큰 영향을 줍니다.

  • 책상 주변을 정돈하고, 방해 요소(스마트폰, 게임기 등)는 잠시 치우기
  • 조용한 음악이나 스터디 카페 분위기 활용

예시: 공부 시작 전에 가족 모두 30분만 각자 할 일에 집중하는 시간 만들기(함께 “집중 타임” 만들기)

6. 스스로 점검하는 습관 만들기

매일 자기 전 “오늘 공부한 것 중 기억에 남는 것 한 가지”를 스스로 적거나, 짧게 가족끼리 돌아가며 발표하는 것도 자기동기와 습관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 공부 다이어리, 투두리스트 작성 습관 들이기
  • 공부한 내용을 친구나 가족에게 설명해보기(‘가르칠 때’ 더 오래 기억됩니다)

FAQ – 자주 묻는 질문

Q1. 공부를 너무 싫어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우선 강제로 시키기보다는 흥미로운 부분을 찾아 함께 탐색해보세요.
“공부=싫은 것”이라는 이미지를 조금씩 바꿔나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Q2. 스마트폰이나 게임에만 빠져 있는데, 어떻게 동기부여할 수 있나요?

완전히 막기보다 “공부 30분, 휴식 10분”처럼 시간 분할법을 제안해보세요.
그리고 게임 속 ‘목표 달성’ 같은 재미를 공부에도 적용해 작은 보상을 주세요.

Q3. 성적이 오르지 않아도 칭찬해야 할까요?

네. 결과보다 노력과 과정을 칭찬하는 것이 오히려 더 강한 동기부여가 됩니다.
실패해도 계속 도전하는 태도를 높이 평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공부는 ‘스스로 하는 습관’이 핵심입니다

공부를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하게 만드는 환경과 대화, 그리고 작은 성공과 칭찬이 모이면, 어느새 자기주도학습이 자연스럽게 자리잡게 됩니다.
오늘부터 한 가지라도 실천해보세요. 중학생의 변화가 시작됩니다!


참고문헌 및 출처

  •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이병훈, 『공부동기: 부모와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안내서』, 2018.